본문 바로가기
제태크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by m0-0m 2023. 9. 16.
728x9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며칠 전에 청년도약계좌의 9월 신청기간이 종료되었습니다. 다들 청년도약계좌 신청하셨나요? 청년들 사이에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인기가 뜨겁습니다. 5년 만기 시에 최대 5,000만 원까지 수령이 가능하다고 해서 인기가 많지만 찾아보니 어려운 용어들이 많고 복잡해서 신청하기 힘드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조건, 기간, 방법 등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국가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5년 동안 매달 70만원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게 되면 정부기여금,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달 70만 원씩 5년 동안 꾸준히 낸다고 생각했을 때 약 8%가 넘은 일반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9월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의 9월 신청기간은 9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총 11개의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위 기간에 신청한 내역을 기준으로 9월 25일부터 10월 6일까지 약 10일간 가입심사를 진행합니다. 신청자의 나이와 개인소득, 가구심사 소득을 진행합니다. 그 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계좌개설기간입니다. 신청자의 자격이 자격기준에 해당된다면 각 은행별로 안내문자나 안내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마다 우리 금리 요건이 달랐을 텐데 신청하신 분들 잘 알아보시고 신청하셨나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 조건

청년도약계좌에 신청이 가능한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제일 중요한 청년의 기준입니다.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이어야 하고, 군복무 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군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됩니다. 그리고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 소득이 6,3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가구 중위소득이 180% 이하여야 합니다.

※ 23년 기준 가구중위소득 180%

1인가구  3,740,205원
2인가구  6,221,079원
3인가구  7,982,668원
4인가구  9,721,732원
5인가구  11,395,238원
6인가구  13,010,365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쉽게 해석하면, 이자,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원 이상인 사람에게는 혜택을 줄 수 없다고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결혼을 했다 하더라도 신청 가능 조건에 해당이 된다면, 모든 조건에 충족이 된다면 부부 두 분 모두 가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대신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중복으로 동시에 가입이 가능한 것도 있지만,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으로 가입이 불가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지고 계신 분은 적금이 만기 되거나 해지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한도, 혜택금

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은행의 기본금리가 4.5%로 동일합니다. 은행마다 우대금리 조건이나 이율이 조금씩 다르지만 연 최대 6%의 금리가 높은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청하는 예적금 금융상품은 만기 시에 이자소득세를 제외하고 수령하게 되자만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에 대한 세금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납입한도는 매달 1회 최소 1천 원 이상 70만 원 이하이고 연간 납입 한도는 840만 원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은 5년으로 굉장히 긴 상품입니다. 만기가 길기 때문에 5년간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자유납입식이기 때문에 매달 납입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매달 같은 금액을 납입할 필요가 없고, 약간 부담이 된다면 납입을 건너뛰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월별, 연간 한도가 정해져 있다 보니 나중에 한 번에 납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위의 표와 같이 소득이 적을수록 정부 기여금을 더 많이 받게 됩니다. 정부 기여금은 월납입금액에 비례해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이고, 매달 70만 원을 넣는다고 생각했을때, 월 납입원금과 40만원 중 적은 금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70만원을 납입해도 40만 원을 지급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심사기간, 계좌개설기간, 가입조건 혜택 및 정부지원금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미 신청기간은 지나서 많은 분들이 신청하셨을 거라 생각되고 심사 후에 은행에서 연락이 오면 본인이 만기 시에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도 미리 계산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소득기준과 월 납입금액에 따라 혜택금액도 조금씩 차이가 있으니, 혜택을 최대한 받을 수 있는 선에서 5년간 꾸준히 납입해서 만기 후에 큰 목돈을 마련하시기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